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. 여랑야랑, 정치부 김민지 기자와 함께합니다. 첫 번째 주제 보겠습니다. 박범계, 정청래 민주당 의원이 보이는데 어떤 노림수일까요? <br><br>[기자]<br>국회 후반기 상임위 '배치'에 노림수가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먼저 박범계 의원부터 살펴보면요. 법사위에 배정돼 어제 첫 회의에 참석했죠.<br><br>[박범계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어제)]<br>"법무부 장관을 지낸 사람으로서 법사위원답게 여러분들 걱정하시지 않도록 균형과 절제,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 나름의 조정도 하도록 하겠습니다."<br><br>이대로라면 박 의원은 올 가을 국정감사에서 본인이 법무부 장관 신분으로 했던 일들을 감사하게 됩니다. '셀프감사'라는 지적인데요. <br><br>배현진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"세상에 아무리 두꺼워도 이 정도면 서로 낯이 화끈거릴 일 아니냐"고 비판했습니다. <br><br>Q. 이번에 과방위원장을 맡은 정청래 의원도 사진에 있었잖아요. <br><br>과방위원장이 되기에 앞서 민주당 최고위원 출마를 선언했는데요. <br> <br>국회법이나 민주당 당헌·당규에 금지 규정은 없지만 관행상 최고위원과 상임위원장은 겸직하지 않습니다. <br><br>Q. 아무래도 상임위원장은 중립성이 요구되는 자리라서 그런 것 아닐까요?<br> <br>정청래 의원은 이렇게 반박했습니다. <br><br>[정청래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오늘, YTN 라디오 '뉴스킹 박지훈입니다')]<br>"주요직위를 맡으면 중립성이 흔들릴 수 있다고 하는데, 원내대표는 주요직이 아니냐는 거죠." <br><br>[정청래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오늘, YTN 라디오 '뉴스킹 박지훈입니다')]<br>"그리고 또 운영위원장을 맡으면 중립적으로 합니까?"<br> <br>참고로 운영위원장은 관례상 여당 원내대표가 맡아 왔습니다. <br><br>Q. 권성동 원내대표, 과방위원장은 민주당에 내줬지만 본인이 직접 과방위에서 활동하게 됐죠? <br><br>네, 어쩔 수 없었다고 설명하긴 했는데요. <br><br>[권성동 / 국민의힘 대표 직무대행 (지난 22일)]<br>"과방위 신청자가 적어서 원내대표가 제일 비인기 상임위로 강제 배정 당한 겁니다. (빈자리에 가는 것은) 원내지도부로서 당연히 그렇게 해야 할 도리입니다." <br><br>사실상 여러 차례 강조해온 공영방송 개혁 의지를 드러낸 것이라는 해석이 나옵니다. <br><br>Q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대통령의 문자, 받은 사람은 권성동 원내대표인가 보죠? <br><br>네. 오늘 국회 본회의장에서 권 원내대표의 휴대전화 메시지가 취재진 카메라에 포착됐습니다. <br><br>Q. 이게 그 사진인가 보죠? 보낸 사람은 '대통령 윤석열' 이라고 되어 있고요.<br> <br>네. 내용에는 "우리당도 잘하네요. 계속 이렇게 해야"한다며 칭찬했는데요. <br><br>이준석 대표를 겨냥해 "내부총질이나 하던 당대표가 바뀌니 달라졌다"고 썼습니다. <br> <br>그러자 권 원내대표는 "대통령님의 뜻을 잘 받들어 당정이 하나 되는 모습을 보이겠다"고 화답했습니다. <br><br>Q. 윤 대통령이 이준석 대표를 직접 비판한 적은 없었잖아요. <br><br>맞습니다. 그동안 거리두기 하는 모습을 보였는데요. <br><br>Q. 이준석 대표 징계 등 당내 갈등이 좀 심한 상황인데요. <br> <br>[윤석열 대통령(지난달 24일, 출근길)]<br>"당무에 대해서는 대통령이 언급할 사안이 아닌데." <br><br>내밀한 문자메시지 속 "내부총질이나 하던 당 대표"라는 대통령의 평가에 이준석 대표는 '노코멘트'라는 입장을 보였습니다. <br><br>Q. 마지막 주제 보겠습니다. 윤석열 대통령 얘기인가 보네요.<br> <br>네. 어제오늘 대정부질문에서 윤 대통령에 대한 여러 평가가 나왔는데요. <br> <br>먼저 여당의 평가부터 들어보시죠 <br><br>[임이자 / 국민의힘 의원(오늘)]<br>"제가 본 윤석열 대통령은 /굉장히 솔직하고 소탈하고 정직하시더라고요. / 그리고 약속은 반드시 지키려고 하고" <br> <br>[한덕수 / 국무총리(오늘)]<br>"한 가지 더 첨언을 한다면 결단력이 대단히 강하신 분입니다." <br> <br>[윤상현 / 국민의힘 의원 (어제)]<br>"가까이서 보는 윤석열 대통령의 모습은 어떻습니까?" <br> <br>[한덕수 / 국무총리 (어제)]<br>"워낙 철학이 분명하고 또 소탈하시고 하기 때문에…." <br><br>Q. 제가 가까이서 보니, 직접 겪어보니... 라고 하면서 친분을 강조하는 것 같기도 하네요.<br> <br>네. 대통령을 치켜세운 여당과 달리 야당은 혹평했는데요. <br><br>[김한정 / 더불어민주당 의원(오늘)]<br>"많은 국민들 속에는 윤석열 대통령 이미지가 전두환이 보인다는 지적도 있다는 것을 꼭 명심하시길 바랍니다." <br> <br>[김경협 / 더불어민주당 의원(오늘)]<br>"무능과 무책임이 도를 넘어서고 있습니다. 이렇게 무능할 줄이야. <br>대통령 놀이에 푹 빠진 준비 안 된 대통령과 무능한 정부 " <br><br>Q. 대통령이 독주하고 있다, 무능하다고 계속 강조하는 거죠.<br> <br>어제 고민정 의원은 이런 비유를 들었는데요. <br><br>[고민정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어제)]<br>"구중궁궐에서 벗어나겠다고 용산, 용와대로 옮기면 뭐 합니까. 대통령은 더 이상 문고리 실세 뒤에 숨어서 <호가호위>하려 하지 마십시오." <br><br>Q. 그런데 호가호위라는 말이 저럴 때 쓰는 말인가요?<br> <br>'호가호위'는 '남의 권세를 빌려 허세를 부린다'는 뜻인데요. <br><br>국민의힘 박민영 대변인은 "참으로 엉뚱한 말"이라며 "문맥상 사자성어 본래 뜻에 해당하는 게 단 한 가지도 없다"고 비판했습니다.<br> <br>대통령에 대한 평가, 여야 이해관계에 따라 극명하게 엇갈리네요. (완전달라) <br><br>Q. 여랑야랑이었습니다.<br> <br>구성: 김민지 기자·김지숙 작가 <br>연출·편집: 정새나PD·배영진PD <br>그래픽: 전성철 디자이너<br /><br /><br />김민지 기자 mj@donga.com